Surprise Me!

[자막뉴스] 세입자보다 10배 적게 낸 집주인...관리비 '이럴 수가' / YTN

2023-02-07 26 Dailymotion

■ 진행 : 나경철 앵커, 유다원 앵커 <br />■ 출연 : 권혁중 경제평론가 <br /> <br />*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 인용시 [YTN 굿모닝 와이티엔]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. <br /> <br /> <br />관리비 관련 얘기를 좀 해 보겠습니다. <br /> <br />아파트 같은 경우는 관리비 내역이 어느 정도 가시적으로 나오잖아요. <br /> <br />그런데 주택의 경우는 알기가 쉽지 않거든요. <br /> <br />그런데 또 이게 집주인이냐, 또 임차인이냐에 따라서 관리비 자체가 크게는 10배 차이가 나기도 한다고요? <br /> <br />[권혁중 / 경제평론가] <br />맞습니다. 아파트 사시는 분들은 전혀 이해를 못하세요. <br /> <br />깜깜이 관리비 부분인데요. <br /> <br />아파트 같은 경우에는 공동주택관리법에 묶여 있다 보니까 실제적으로 관리비를 딱 보면 굉장히 세세하게 잘 나와 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 문제가 뭐냐 하면 단독, 다가구 주택이라고 보시면 돼요. <br /> <br />단독, 다가구 주택 같은 경우에는 임대인 마음대로입니다. <br /> <br />그러다 보니까 깜깜이 관리비가 나올 수밖에 없는 게 지금 차트에 보듯이 주택유형별 소유 여부에 따라서 관리비 차이가 커요. <br /> <br />예를 들어서 제곱미터당입니다, 단위가. <br /> <br />보통 다가구 같은 경우에는 임대인, 그러니까 자가 같은 경우에는 36원 정도가 관리비로 책정되는데 임차인들은 391원이 나옵니다. <br /> <br />그러니까 거의 10배 차이가 나는 거예요. <br /> <br />왜냐하면 한 세대에 한 건물 안에 여러 가구들이 있다 보니까 이게 임대인들이 알아서 관리비를 책정해서 주거든요, 고지서를. <br /> <br />그러다 보니까 자연스럽게 내 입장에서는 나를 적게 할 수밖에 없고요. <br /> <br />다른 임차인분들에게 이런 관리비를 돌릴 수밖에 없는. <br /> <br />그러다 보니까 격차가 10배까지 벌어지는 겁니다. <br /> <br />다세대는 그나마 낫습니다. <br /> <br />세대가 여럿이다 보니까 계량기가 여러 개 있거든요. <br /> <br />이런 것들은 2배까지 지금 격차가 벌어지고 있고 아파트는 1.1배예요. <br /> <br />그러니까 거의 아파트 같은 경우에는 임대인이나 임차인이나 동일한 기준으로 관리비를 내고 있다는 것이겠죠. <br /> <br />그런데 많은 분들이 그러실 거예요. <br /> <br />그러면 다가구, 깜깜이 관리비를 받는 분들이 많냐 봤을 때 실제 조사에 의하면 전체 가구의 20%에 해당합니다. <br /> <br />상당히 많은 분들이 이런 깜깜이 관리비를 지금 받고 있다고 보시면 되겠고 그래서 지금 대안이 나오고 있는 것이 이번에 주택임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30208053921234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